경전강독
( Confucian classics : The works of Mencius )
|
맹자는 전국시대에 존천리, 알인욕을 제창하여 왕도정치의 구현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교과는 맹자의 사상과 주요 문장을 읽고 뜻을 터득하고자 한다.
|
역대산문선독
( Selective Reading of Chinese Prose )
|
중국의 역대 고전 산문을 선독함으로써 산문에 대한 독해력을 신장하고, 더불어 산문에 대한 이해 감상 분석 능력을 제고한다.
|
한문교과교육론
( Educational theory of classical chinese instruction )
|
본 교과는 예비교사들이 증등학교에서 현장교육을 담당함에 있어 한문교과와 한문교육 현상에 대한 분석과 반성을 통하여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고 교사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
한문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Research & teaching method of Chinese classics' instruction books )
|
본 교과는 예비교사들이 중등학교의 한문 학습내용을 학습지도 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배양하여 교사의 자질을 함양하고 학습지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
한문소설선독
( Reading classical Chinese novels )
|
한문소설의 발생과 내용을 개관하고 우리나라의 한문소설 중에서 김시습의 작품과 박지원의 작품을 뽑아 원문을 강독함으로써 한문소설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한다.
|
경학사상지도론
( Reading the Confucian classics )
|
동양 정신의 기본을 이루는 經書 가운데 『大學』. 講讀을 통하여 한문 독해 능력을 기른다. 『大學』은 삼강령, 팔조목을 중심으로 하여 인식론 및 심성론, 그리고 개인의 수양으로부터 치국평천하에 이르는 것으로 내외와 본말을 겸비한 책이다.
|
디지털시대의한문번역
( Training of translating Chinese into Korean in Digital Environment )
|
디지털시대에 요구되는 한문번역 능력을 신장한다. 각종 디지털 공구서 및 DB를 활용하여 한문 원전을 정리하고 정확성, 가독성을 갖춘 번역 성과를 내는 데 중점을 둔다.
|
역사문헌선독
( Reading select Sino-korean history )
|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역사서를 강독함으로써 한문독해능력을 기르고 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한다.
|
중국한시선독
( Reading select Chinese Poetry )
|
중국의 고대 시가로부터 역대의 한시를 발췌하여 운문 문학의 특질과 구성, 그리고 분석과 이해를 통해 시학을 학습하고자 한다.
|
한중문학교류사
( Exchange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
|
전통시대에 이루어진 한국과 중국의 문학 교류의 양상을 사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동아시아 문학사의 흐름을 이해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