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논리및논술
( Chinese classics Logic and Essay writing )
|
한문학습을 충실히 하고 좋은 연구업적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논술교과에 의한 학습이 필요하다. 한문학 전 분야의 각종 사안에 대해 논제를 설정하는 방법, 작품 분석법, 주제에 따른 논리적인 서술방법 등을 습득한다. 논리적인 사고와 분석력을 제고하여 한문학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연구하도록 한다.
|
동양고전지도법
( Method of teaching oriental classical Chinese )
|
한문교육 전 과정에서 배운것을 토대로하여 한문학을 연마하고, 새로운 학문에 근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
제자선독
( Selected reading of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 )
|
제자백가의 문장을 선독함으로써 중국 고대 사상에 대한 이해력과 중국 고대의 다양한 한문 문장에 대한 독해력을 제고한다. 특히 순자와 도가, 법가의 문장을 선독하고 그들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
한국고대산문선독
( selective reading the ancient Chinese proses of Korea )
|
삼국시대와 고려조의 산문을 강독한다. 시대별 작가의 강의를 병행하여 한문학사의 흐름을 파악토록 한다. 또 유사한 중국 작품과도 강독 비교하여 우리 한문학의 특성을 찾도록 한다.
|
한국근대산문선독
( Selsctiv reading the Chinese proses of Josun dynacty )
|
이는 개화기 이전, 즉 근대의 개화와 아울러 구 체제, 즉 전통유학의 고수에 의한 문장을 중심으로 한문학의 변화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
한국시화
( Analytic storics about the Chinese poetry of korea )
|
한시의 창작 동기, 작품의 가치평가, 작품에 담겨있는 여러 가지 유래나 일화,작가에 대한 소개 등을 논한 만록, 또는 수필 등이 포함된 잡록체 문장을 시화라 한다. 이에 한국인이 지은 시화를 소개하고 작품을 강론하여 시화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하고자 한다.
|
한국인성교육론
( Korean humanistic education theory )
|
한국의 전통문화에 내재된 인성교육의 내용과 의미 그리고 가치를 이해하고, 이를 교육현장에서 실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을 배운다.
|
한문과교육과정및수업론
( Curriculum & Instruction in Chinese classics )
|
본 교과는 예비교사들이 중등학교의 한문 수업을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 한문과 교육과정과 이에 기초한 수업 시연, 관찰, 분석함으로써 한문과 수업에 대한 자질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한문학비평
( Criticism on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
|
한문에 있어서의 비평의 원리, 목적, 기능 및 작품 비평의 개관을 다루며 한문학상에 대표적인 비평가와 작품을 소개하고 이해시켜 그 작품의 인식을 다른 각도에서도 새롭게 하고자 한다.
|